카테고리: Food
Created by: HOSEOKNAM
Number of Blossarys: 42
원어명은 독일어로 Ice는 "Eis"이고, Wine은 "Wein"으로 Eiswein(아이스바인)으로 표기한다. 독일의 한 양조장에서 추운 날시에 얼어버린 포도로 와인을 만들었던 것에 서 유래되었다. 언 상태의 포도를 수확한 뒤 짜내면 매우 당도 높은 포도즙을 통해 고당도와 고산도가 조화를 이루는 아이스와인은 디저트와인으로 사용된다. 독일과 캐나다에서 주로 생산된다. 자연에서 재배한 포도로 만든 와인만을 공식 아이스와인으로 인정하고, 수확 후 냉동시킨 포도알을 짜낸 인공 아이스와인은 아이스박스 와인(Icebox wine)이라 구분되며, 그 특유의 향이 부족하다.
원어명은 독일어로 Ice는 "Eis"이고, Wine은 "Wein"으로 Eiswein(아이스바인)으로 표기한다. 독일의 한 양조장에서 추운 날시에 얼어버린 포도로 와인을 만들었던 것에 서 유래되었다. 언 상태의 포도를 수확한 뒤 짜내면 매우 당도 높은 포도즙을 통해 고당도와 고산도가 조화를 이루는 아이스와인은 디저트와인으로 사용된다. 독일과 캐나다에서 주로 생산된다. 자연에서 재배한 포도로 만든 와인만을 공식 아이스와인으로 인정하고, 수확 후 냉동시킨 포도알을 짜낸 인공 아이스와인은 아이스박스 와인(Icebox wine)이라 구분되며, 그 특유의 향이 부족하다.
당 함유량에 따라 구분하는 것으로 드라이 와인은 리터당 남은 포도당이 10g 미만인 와인을 의미한다. 대부분이 레드와인이 드리아 와인에 속하며, 일반적으로 고급 레드와인 일수록 드라이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화이트 와인의 일부도 여기에 속한다. 법적으로 고급와인일수록 가당을 할 수 없게 금지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레드와인의 빛이 적색에 가깝고 짙을수록, 화이트와인의 경우 빛이 엷을수록 드라이한 경향이 있다. 프랑스 와인의 세트(Sec)범주에 속하며, 이탈리아어로 세코(Secco), 독일어로 트로켄(Trockea)이라 표현한다. 잔여당 5g미만은 본 드리아(Bone Dry), 프랑스어로 브뤼(Brut)이라 한다. 스위트 와인을 마신 뒤에는 드라이 와인이 오히려 쓰게 느껴지므로 드라이한 맛의 와인을 먼저 마시는 것이 일반적이다.
당 함유량에 따라 구분하는 것으로 드라이 와인은 리터당 남은 포도당이 10g 미만인 와인을 의미한다. 대부분이 레드와인이 드리아 와인에 속하며, 일반적으로 고급 레드와인 일수록 드라이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화이트 와인의 일부도 여기에 속한다. 법적으로 고급와인일수록 가당을 할 수 없게 금지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레드와인의 빛이 적색에 가깝고 짙을수록, 화이트와인의 경우 빛이 엷을수록 드라이한 경향이 있다. 프랑스 와인의 세트(Sec)범주에 속하며, 이탈리아어로 세코(Secco), 독일어로 트로켄(Trockea)이라 표현한다. 잔여당 5g미만은 본 드리아(Bone Dry), 프랑스어로 브뤼(Brut)이라 한다. 스위트 와인을 마신 뒤에는 드라이 와인이 오히려 쓰게 느껴지므로 드라이한 맛의 와인을 먼저 마시는 것이 일반적이다.
당 함유량에 따른 구분으로 드라이와인과 스위트와인의 중간 정도의 와인을 말하며, 잔당 함량이 1 - 2% 미만이며 세미 스위트 와인(Semi Sweet Wine) 또는 미디엄 스위트 와인(Medium Sweet Wine)이라 부르기도 한다. 화이트와인 품종으로는 리슬링(Riesling)이 있고, 레드와인 품종으로는 메를로(Merlot)이 있다. 이 와인은 약간의 단맛이 있기 때문에 와인 초보자도 쉽게 마실 수 있는 것이 장점이며, 일반적으로ㅗ 식사와 함께 마신다.
당 함유량에 따른 구분으로 드라이와인과 스위트와인의 중간 정도의 와인을 말하며, 잔당 함량이 1 - 2% 미만이며 세미 스위트 와인(Semi Sweet Wine) 또는 미디엄 스위트 와인(Medium Sweet Wine)이라 부르기도 한다. 화이트와인 품종으로는 리슬링(Riesling)이 있고, 레드와인 품종으로는 메를로(Merlot)이 있다. 이 와인은 약간의 단맛이 있기 때문에 와인 초보자도 쉽게 마실 수 있는 것이 장점이며, 일반적으로ㅗ 식사와 함께 마신다.
당 함유량에 따른 구분으로 1리터 당 포도당의 함량이 18g 이상으로, 당 함량이 2%이상이며 마셨을 때 달다고 느껴지는 와인을 지칭한다. 와인 발효과정에서 알코올로 변하지 못한 잔여 당이 발생하는데 이를 완전히 발효시키지 않아 포도당의 단맛이 비교적 많이 남아있는 와인을 말한다. 보통 수확을 늦게 하여, 포도의 수분이 줄고 당의 함량이 높아졌을 때 포도를 수확해 와인을 제조하는 방법 또는 양조과정에서 가당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색이 옅은 레드와인과 로제와인, 색이 황금빛인 화이트와인이 달달한 맛을 낸며 디저트 와인으로 이용하는게 대부분이다. 세계 3대 스위트 와인으로는 프랑스의 소테른, 헝가리의 토카이, 독일의 트로켄베렌아우슬레제가 있다.
당 함유량에 따른 구분으로 1리터 당 포도당의 함량이 18g 이상으로, 당 함량이 2%이상이며 마셨을 때 달다고 느껴지는 와인을 지칭한다. 와인 발효과정에서 알코올로 변하지 못한 잔여 당이 발생하는데 이를 완전히 발효시키지 않아 포도당의 단맛이 비교적 많이 남아있는 와인을 말한다. 보통 수확을 늦게 하여, 포도의 수분이 줄고 당의 함량이 높아졌을 때 포도를 수확해 와인을 제조하는 방법 또는 양조과정에서 가당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색이 옅은 레드와인과 로제와인, 색이 황금빛인 화이트와인이 달달한 맛을 낸며 디저트 와인으로 이용하는게 대부분이다. 세계 3대 스위트 와인으로는 프랑스의 소테른, 헝가리의 토카이, 독일의 트로켄베렌아우슬레제가 있다.
이미 완성된 와인이나 발효 중인 와인에 브랜디 등을 첨가하여 발효를 정지시켜 알코올 함유량을 높인 와인이다. 영어로는 포티파이드 와인(fortified wine)이라 하며, 보통 디저트와인이라는 것이 이런 종류이다. 일반 와인은 대체로 알코올 성분이 12%전후이지만 18%로 높은 와인이다. 대표적인 와인으로 포르투갈의 포트 와인(Port wine)과 스페인의 셰리 와인(Sherry wine)이 있다. 이런 강화 와인은 신전주로 쓰이지만, 치즈나 케이크와 곁들여 마시는 디저트 와인으로도 많이 이용된다. 칵테일 베이스는 물론이고 요리의 풍미를 높이는 주방와인으로도 이용가치가 높다.
이미 완성된 와인이나 발효 중인 와인에 브랜디 등을 첨가하여 발효를 정지시켜 알코올 함유량을 높인 와인이다. 영어로는 포티파이드 와인(fortified wine)이라 하며, 보통 디저트와인이라는 것이 이런 종류이다. 일반 와인은 대체로 알코올 성분이 12%전후이지만 18%로 높은 와인이다. 대표적인 와인으로 포르투갈의 포트 와인(Port wine)과 스페인의 셰리 와인(Sherry wine)이 있다. 이런 강화 와인은 신전주로 쓰이지만, 치즈나 케이크와 곁들여 마시는 디저트 와인으로도 많이 이용된다. 칵테일 베이스는 물론이고 요리의 풍미를 높이는 주방와인으로도 이용가치가 높다.
톡 쏘는 거품이 나는 발포성의 스파클링 와인은 와인을 당과 이스트를 첨가하여 2차 발효시켜 탄산가스가 가득 차게 만든것이며 비교적 값이 싸다. 반대로 발포가 안되는 와인은 그냥 일반와인 또는 스틸 와인(Still wine)이라 한다. 약 5,600만 개정도의 기포가 생성되는데 기포의 크기가 작을수록 와인의 품질이 우수하다. 대표적인 것이 샴페인이다. 샴페인은 프랑승 샹퍄뉴 지역에서 생산된 것만을 샴페인이라한다. 그리고 이탈리아에서는 스푸만테, 스페인은 카바, 톡일 젝트라 불리운다. 보통 에피타이저 와인으로 이용되고 와인 칵테일의 기본으로 많이 사용된다.
톡 쏘는 거품이 나는 발포성의 스파클링 와인은 와인을 당과 이스트를 첨가하여 2차 발효시켜 탄산가스가 가득 차게 만든것이며 비교적 값이 싸다. 반대로 발포가 안되는 와인은 그냥 일반와인 또는 스틸 와인(Still wine)이라 한다. 약 5,600만 개정도의 기포가 생성되는데 기포의 크기가 작을수록 와인의 품질이 우수하다. 대표적인 것이 샴페인이다. 샴페인은 프랑승 샹퍄뉴 지역에서 생산된 것만을 샴페인이라한다. 그리고 이탈리아에서는 스푸만테, 스페인은 카바, 톡일 젝트라 불리운다. 보통 에피타이저 와인으로 이용되고 와인 칵테일의 기본으로 많이 사용된다.
색에 따른 구분으로 신선한 느낌을 주면서 컬러가 마치 장미꽃잎을 생각나게 하는 로제와인은 주로 가든 파티나 피크닉을 할때 주고 애음된다. 주로 식전주로 자주 마시며 차갑게 마시는 것이 좋다. 이 와인은 레드와인과 화이트와인을 섞어 만든 것이 아니고 포도를 껍질과 함게 아주 짧은 시간 함께 보관함으로 약간의 생기 배어 나오게 만든 와인이다. 좋은 로제 와인은 밝은 빛깔을 띠고, 색의 농도는 연한 톤에서 중간 톤의 장미꽃잎 색깔을 띤다. 숙성된 초기에 주로 마시며 보통 어릴수록 맛이 더 좋다. 오래도록 저장하는 와인이 아니기 때문에 너무 오래된 로제와인은 구입하지 않도록 한다.
색에 따른 구분으로 신선한 느낌을 주면서 컬러가 마치 장미꽃잎을 생각나게 하는 로제와인은 주로 가든 파티나 피크닉을 할때 주고 애음된다. 주로 식전주로 자주 마시며 차갑게 마시는 것이 좋다. 이 와인은 레드와인과 화이트와인을 섞어 만든 것이 아니고 포도를 껍질과 함게 아주 짧은 시간 함께 보관함으로 약간의 생기 배어 나오게 만든 와인이다. 좋은 로제 와인은 밝은 빛깔을 띠고, 색의 농도는 연한 톤에서 중간 톤의 장미꽃잎 색깔을 띤다. 숙성된 초기에 주로 마시며 보통 어릴수록 맛이 더 좋다. 오래도록 저장하는 와인이 아니기 때문에 너무 오래된 로제와인은 구입하지 않도록 한다.
색에 따른 구분으로 맑은 순한 생굽터 황금색, 호박색 등을 띄는 화이트 와인은 청포도와 일부 적 포도를 이용해 만든다. 레드와인과 다른게 발효가 시작되기 전 포도즙과 포도 껍질을 분리시켜 제로를 한다. 특히 포도의 신선함을 보조하는데 중점을 두며 신선함은 긴 시간동안 저온에서 가장 유지가 잘 된다고 한다. 레드와인과 달리 화이트 와인은 스테인리스 발효조에서 발효를 하며 낮은 온도에서 서서히 발효가 일어나기 때문에 순하며 달고 섬세한 맛이 느껴진다. 10도 정도로 차게 먹으면 제맛을 더욱 느낄수 있으며 해산물이나 생선요리에 잘 어울린다.
색에 따른 구분으로 맑은 순한 생굽터 황금색, 호박색 등을 띄는 화이트 와인은 청포도와 일부 적 포도를 이용해 만든다. 레드와인과 다른게 발효가 시작되기 전 포도즙과 포도 껍질을 분리시켜 제로를 한다. 특히 포도의 신선함을 보조하는데 중점을 두며 신선함은 긴 시간동안 저온에서 가장 유지가 잘 된다고 한다. 레드와인과 달리 화이트 와인은 스테인리스 발효조에서 발효를 하며 낮은 온도에서 서서히 발효가 일어나기 때문에 순하며 달고 섬세한 맛이 느껴진다. 10도 정도로 차게 먹으면 제맛을 더욱 느낄수 있으며 해산물이나 생선요리에 잘 어울린다.
색에 따른 구분으로 가장 기본적으로 대중에게 친숙한 와인이다. 포도 껍질 속에 함유된 안토시아닌과 타닌으로 각각 붉은 색을 띄고 떫은 맛을 낸다. 타닌 성분은 청연방부제의 효과를 지니고 있어 화이트와인 보다 보존 기간도 길다. 육류요리랑 잘 어울리며 와인의 특성에 따라 상온 10도 - 20도에서 보관해 두었다 먹는 것이 좋다. 그리고 고기를 와인에 재우면 고기의 누린내를 날리고 육질을 부드럽게 해주는 효과도 누릴수있다. 레드와인은 두 가지 스타일로 나눠지는데 하나는 과일 맛이 많이 나는 형태로 부담없이 마시기는 좋지만 통이나 발효조에 몇개월동안 저장해서 만든 와인은 아니다. 다른 하나는 잠재적인 복합성과 구조에 따라 몇 개월 또는 몇 년 동안 오크통에서 숙성 시킨 와인으로, 발효과정에서 오크통과의 화학작용으로 와인의 향, 풍미, 질감이 미묘히 변하며 대체적인 고급 와인의 형태를 띤다.
색에 따른 구분으로 가장 기본적으로 대중에게 친숙한 와인이다. 포도 껍질 속에 함유된 안토시아닌과 타닌으로 각각 붉은 색을 띄고 떫은 맛을 낸다. 타닌 성분은 청연방부제의 효과를 지니고 있어 화이트와인 보다 보존 기간도 길다. 육류요리랑 잘 어울리며 와인의 특성에 따라 상온 10도 - 20도에서 보관해 두었다 먹는 것이 좋다. 그리고 고기를 와인에 재우면 고기의 누린내를 날리고 육질을 부드럽게 해주는 효과도 누릴수있다. 레드와인은 두 가지 스타일로 나눠지는데 하나는 과일 맛이 많이 나는 형태로 부담없이 마시기는 좋지만 통이나 발효조에 몇개월동안 저장해서 만든 와인은 아니다. 다른 하나는 잠재적인 복합성과 구조에 따라 몇 개월 또는 몇 년 동안 오크통에서 숙성 시킨 와인으로, 발효과정에서 오크통과의 화학작용으로 와인의 향, 풍미, 질감이 미묘히 변하며 대체적인 고급 와인의 형태를 띤다.